제목 | 답변완료 대응자료의 검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이지혜 |
과목 | 통계학 | 강좌명 | |
작성자 | 학* (v******l) | 등록일 | 2022-03-14 13:54 |
첨부파일 | |||
36강 대응자료의 검정 강의에서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 있어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검정통계량을 구하는 공식과, 가설을 설정하는 부분에서
Ud 와 Ud0 가 나오는데(강의 자료를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둘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 강의에서도 설명을 해주시지 않아 관련된 내용을 인터넷에서 찾아보았습니다.
내용들을 종합해서 생각을 해 보니
`H1 : u1(실험 전의 평균) > u2(실험 후의 평균)` 와 같이 가설을 설정하는 부분에서 부등식 변형을 하면
u1 - u2 > 0 과 같이 식이 변형되고,
여기에서 좌변을 Ud, 우변을 Ud0 이라고 설정하였다고 판단하였습니다.(틀린 부분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제가 궁금한 부분은 강의 예제의 풀이 과정과 관련된 것입니다.
새로운 식이요법으로 한 달에 5kg 체중감량을 보장한다고 하였으므로
`H1 : u1 > u2 + 5` -> u1 - u2 > 5 와 같이 가설을 설정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검정통계량을 계산할 때
왜 (u1 - u2) 부분에(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바로 5 라는 값을 대입할 수 있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에서 u1 - u2 = 5 와 같은 가설이 설정된 것도 아닌데, 이런 계산을 시행할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유니스터디 이지혜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대응비교는 하나의 대상을 두 번 측정한 값들 간의 차이로 모집단이 구성됩니다.
다시 말하면
단일모집단에서 모평균을 추정 혹은 검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전
후 차이는 모분산을 모르는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한 경우와 같으므로 t분포를 적용하게 됩니다.
또한, 표본의 관측치의 경우, ‘사건 전의 관측치 변수 X’, ‘사건 후의 관측치 변수 Y’를 바탕으로 ‘사건 전과 후의 차이’를 의미하는 새로운 변수인 ‘d=X-Y’를 활용하여 추정과 검정에 사용합니다.
이 때 가설은 Ud(‘모집단의 차이의 평균’)과
Ud0(‘모집단의 차이의 평균 이라 주장하는 값’)을 비교하는 것으로설정하고 d bar(‘표본 차이의 평균’)을 활용하여 통계량을 계산해서 추정
혹은 검정을 합니다.
그러므로
예제에서 주장하는 식이요법과 수영을 병행하기 전과 후의 값인 5kg(‘모집단의 차이의 평균이라 주장하는
값(Ud0)’)이 실제 각각 7명 ‘표본의 차이의 평균(d bar)’을 비교하였을 때 감량하였는지를 검정통계량을
통해 ‘모집단의 차이의 평균(Ud)’을 추정 및 검정하는
것이므로
가설은 Ud(‘모집단의 차이의 평균’)을
Ud0(‘모집단의 차이의 평균 이라 주장하는 값’) 5kg과 비교하는
귀무가설(H0)은 Ud <= 5kg
대립가설(H1)은 Ud > 5kg
으로 가설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학습자님께서
제시하신 식에서
D bar(차이의 평균)는 4.11을, U1-U2(뮤1-뮤2)는 5를, Sd(차이의 표준편차)는 3.642를, 루트 n(한
집단이므로)는 7을 대입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학습자님께서 가설을 설정하실 때
`H1 : u1(실험 전의 평균) > u2(실험 후의 평균)` 를 변형 해서 u1 - u2 > 0 과 같이 식을 변형 하셨는데, 여기에서 좌변을 Ud, 우변을 Ud0 이라고 접근하셔서 ‘모집단의 차이의 평균 이라 주장하는 값’과
비교하는 것을 놓쳐,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는 것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 2022-03-30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