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38. 범주형 자료분석 (1) - 적합도 검정 질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이지혜 |
과목 | 통계학 | 강좌명 | |
작성자 | 학* (l****1) | 등록일 | 2021-12-14 20:56 |
모수가 알려진 경우 적합도검정을 해보는 예제 (내과의사)에서 대립가설 H1이 `계절별 감기환자 발생률은 같다`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의사가 새롭게 주장한 것 같은데.. 그리고 해당 예제에서 모수는 pi=0.25, i=1,2,3,4 를 가르키는 건가요?? 미리 답변 감사인사 드립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이지혜 입니다.
@ 모수가 알려진 경우 적합도검정을 해보는 예제 (내과의사)에서 대립가설 H1이 `계절별 감기환자 발생률은 같다`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의사가 새롭게 주장한 것 같은데..
대립가설을 세울 때,
=> 새롭게 주장된 것이면 H1, 아니면 H0로 생각하면 나중에 엄청 고생합니다.
차라리 이렇게 생각해 보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H0 => ***************의 연관이 없다. 똑같이 나온다 등등
H1 => ***************의 연관이 있다. 다르게 나온다 등등
왜 그러냐면..
공식대로 계산해서 나온 값(검정통계량)이
@ 검정통계량이 기각역보다 작으면 => 모두 비율이 같다, 연관이 없다 등등의 결론이 나오고
@ 검정통계량이 기각역보다 크면 => 비율이 다르다. 연관이 있다 등등으로 결론이 나옵니다.
왜 그렇게 되느냐면...
공식이 처음부터 그렇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걸 설명하려면, 처음부터 모든 것을 다시 설명해야 하니.. ㅠㅠ 제 강의를 다시 봐주세요.. 라고 말할 수 밖에 없습니다.
@ 해당 예제에서 모수는 pi=0.25, i=1,2,3,4 를 가르키는 건가요??
모수는 실제 숫자 입니다.
해당 예제에서 모수는
- 봄에 24명
- 여름에 16명
- 가을에 28명
- 겨울에 32명
입니다.
- 2021-12-1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