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교수소개
  • 수학계열
  • 이지혜 교수님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jj2083_03.png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38. 범주형 자료분석 (1) - 적합도 검정 질문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이지혜
과목 통계학 강좌명
작성자 학* (l****1) 등록일 2021-12-14 20:56
모수가 알려진 경우 적합도검정을 해보는 예제 (내과의사)에서 대립가설 H1이 `계절별 감기환자 발생률은 같다`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의사가 새롭게 주장한 것 같은데.. 그리고 해당 예제에서 모수는 pi=0.25, i=1,2,3,4 를 가르키는 건가요?? 미리 답변 감사인사 드립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관*자

안녕하세요? 이지혜 입니다.

 

 

@ 모수가 알려진 경우 적합도검정을 해보는 예제 (내과의사)에서 대립가설 H1이 `계절별 감기환자 발생률은 같다`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의사가 새롭게 주장한 것 같은데..

 

대립가설을 세울 때,

=> 새롭게 주장된 것이면 H1, 아니면 H0로 생각하면 나중에 엄청 고생합니다.

 

 

 

차라리 이렇게 생각해 보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H0 => ***************의 연관이 없다. 똑같이 나온다 등등

H1 => ***************의 연관이 있다. 다르게 나온다 등등

 

 

 

왜 그러냐면..

공식대로 계산해서 나온 값(검정통계량)이

@ 검정통계량이 기각역보다 작으면 => 모두 비율이 같다, 연관이 없다 등등의 결론이 나오고

@ 검정통계량이 기각역보다 크면 => 비율이 다르다. 연관이 있다 등등으로 결론이 나옵니다.

 

 

왜 그렇게 되느냐면...

공식이 처음부터 그렇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걸 설명하려면, 처음부터 모든 것을 다시 설명해야 하니.. ㅠㅠ 제 강의를 다시 봐주세요.. 라고 말할 수 밖에 없습니다.

 

 

 

@ 해당 예제에서 모수는 pi=0.25, i=1,2,3,4 를 가르키는 건가요??

 

모수는 실제 숫자 입니다.

해당 예제에서 모수는

- 봄에 24명

- 여름에 16명

- 가을에 28명

- 겨울에 32명

입니다.

 

  • 2021-12-1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