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기초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회로이론] 노베이스도 이해하는 회로이론 (핵심개념+문제풀이) |
작성자 | 학* (n***********************2) | 등록일 | 2025-03-24 18:51 |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1. KCL 을 사용할 때 폐곡면인 경우에도 성립한다고 알고 있는데 폐곡면이 아닌 회로를 어떻게 그리는지 궁금합니다. 정의만으로는 헷갈려서 예시를 들어주시면 좋겠습니다ㅠㅜ 2. 지나가는 말로 소자를 통과하기 전 전류와 통과한 후의 전류가 항상 일치하다고 말씀하셨는데 커패시터는 전류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것 아닌가요? 커패시터를 통과함으로 인해서 달라지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잘못 이해한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두 질문이 관련이 되어 있어서 하나로 묶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폐곡면(정확히는 가우스 폐곡면)은 아래 그림의 점선으로 표시된 닫힌 도형들을 말하는데요 회로이론에서 KCL은 노드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보편적으로는 폐곡면에 대해서 성립합니다. 그래서 supernode도 가우스폐곡면의 특수한 케이스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 전자기학적 관점에서 보면 어느 소자에 들어가는 전류와 나오는 전류는 다를 수 있지만 회로이론은 집중정수계를 가정하므로 소자를 감싸는 폐곡면을 그리면 KCL에 의해 그 소자에 들어가는 전류와 나오는 전류가 같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5-03-26
- 2025-03-26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