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망로전류법 - 다른 망로와 겹치지 않았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회로이론] 노베이스도 이해하는 회로이론 (핵심개념+문제풀이) |
작성자 | 학* (l********1) | 등록일 | 2025-01-30 14:14 |
6강 17분30초 입니다. 최초로 7A를 망로전류로 결정할때, "다른 망로와 겹치지 않았다."라고 하셨는데,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7A전류원에서 나오는 전류를 방해하는 다른 전류원이 없다는 뜻인가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네,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으신데요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망로라는 것은 방향까지 포함하는 것이지만 생명체의 세포와 같이 회로도를 구성하는 개개의 작은 사각형, 삼각형, 원 등의 도형(최소단위)를 뜻한다고 생각하면 직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41페이지 두번째 그림에 보면 망로가 겹친다는 것의 의미를 이해하실 수 있는데요 첫번째 그림을 보면 주어진 회로는 망로가 2개가 있습니다.
(즉, 6V, 6옴 저항으로 구성된 왼쪽 사각형/6옴, 3옴 저항으로 구성된 오른쪽 사각형)
이때 6옴 저항은 왼쪽, 오른쪽 망로에 모두 포함되므로 두번째 그림과 같이 왼쪽 망로전류 3A, 오른쪽 망로전류 2A가 6옴 저항에서 만나게 되고, 이 두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실제 6옴 저항에는 1A의 전류가 흐릅니다.
그래서 41페이지의 연습문제의 회로는 모두 4개의 망로(사각형 4개)가 있는데요 7A 전류원은 앞서 설명드린 6옴 저항과는 달리 왼쪽 아래 망로(사각형)에만 포함되었으므로 7A에 더해지거나 빼지는 전류성분이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