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정현파정상상태, 직류정상상태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학* (c******5) | 등록일 | 2024-11-09 21:47 |
안녕하세요 교수님 복습을 하는 도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정상상태는 강제응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강제응답이 사인파형이면 정현파정상상태로 해석하고 강제응답이 상수이면 직류정상상태로 해석하면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정현파정상상태를 구하기 위한 가정이 강제응답이 사인파형인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강의 중 1차, 2차회로의 도입부에서 1차, 2차 미분방정식의 풀이에 대해 간단히 다루었는데요 회로이론에서 나오는 강제응답, 정상상태응답에 관한 설명은 모두 미분방정식에서 출발합니다.
우선 강제응답, 고유응답은 아시는 바와 같이 (1차 미방을 예로 들겠습니다.)
y`+ay=f(t)에서 f(t)에 의해 결정되는 성분이 강제응답이고 f(t)에 무관하게 회로고유의 성질에 의해 존재하는 응답이 고유응답입니다.
일반적으로 f(t)가 정현파이면 강제응답도 같은 주파수를 같는 정현파이고 f(t)가 직류(상수)이면 강제응답도 직류입니다.
(이것은 강의의 미분방정식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과도응답(transient response), 정상상태응답(steay state response)에 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고유응답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0으로 소멸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발산, 진동, 0이 아닌 일정한 값에 수렴)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멸하여 없어지는 고유응답을 특별히 구분하여 과도응답이라고 합니다.
고유응답이 0으로 소멸하고 강제응답이 직류 또는 정현파와 같이 0으로 수렴하지 않고 일정한 동작을 유지하는 경우, 즉 회로에 강제응답만 남아있는 상태를 정상상태라고 하는데요
강제응답이 정현파이면 정현파정상상태, 강제응답이 직류이면 직류정상상태라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정상상태라고 부르는 경우는 모두 고유응답은 소멸하는 상황임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4-11-11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