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21강 전류전달비 구하는 과정 중 V2에 대한 ZL에 관련 식 질문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학* (d******d) | 등록일 | 2024-10-05 18:01 |
안녕하세요 교수님! 21강 0:23:45 에서 교수님께서 첫번째 V2는 L2만을 이용해서 식을 만들고 또다른 식으로 ZL과 I2의 곱으로 V2가 또다기 정의가 된다고 하셨습니다. 이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보통 같은 회로에 있기 때문에 V2는 앞에서 구한 임피던스에 대한 식과 ZL*I2의 전체 합이 V2가 아닌가요? 왜 각각이 서로 구분되서 V2가 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직류 쪽 내용이었던 주제 [30]에서 소개한 문제들에도 한쪽 회로의 전압을 구할때 인덕터에 관련된 식들(L1,L2,M)과 뒤에 저항이 있을경우 해당 회로 전압 V= 인덕터 관련 식 + 저항 으로 계산했는데 왜 식을 2개로 구분지어서 전압을 계산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회로에서 전압을 다룰 때는 그것이 마디전압인지 단자전압인지, 마디전압이면 그 기준마디가 어디인지, 단자전압이면 그 극성이 어디인지(즉, 어디부터 어디까지 걸리는 전압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질문하신 회로에서 V2는 위쪽이 +극, 아래쪽이 -극이므로 L2, ZL의 윗부분을 연결하는 도선 위의 한 점을 +극, L2, ZL의 아래 부분을 연결하는 도선 위의 한점을 -극으로 두었을 때 이 두 점 사이의 전압을 V2로 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어느 경로를 따라 KVL을 적용하였느냐에 따라 V2를 나타내는 식이 달라집니다. 질문하신 부분은 모든 회로의 해석에서 등장할 수 있는 상황인데요 간단한 아래의 회로에서 v2를 구할 때도 강의 중의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2024-10-07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