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질문입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유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학* (j*******7) | 등록일 | 2017-05-14 10:29 |
첨부파일 | |||
교수님 안녕하세요. 우선 위의 강의 내용에서 타우..전단응력?, 형광펜 친 부분이 왜 저렇게 되는건지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 고체역학을 선수강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전단응력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합니다. 압력부분은 친히 직선 그래프 그려주신걸로 그래도 이해가 되는듯 합니다만.. 그러니까 제 생각은 x의 양의 방향으로 가는 타우의 표혀은 타우+로우타우/로우x × dx 가 되야되는게 아닌가라고 생각했습니다.. 이 부분에선 u=0 이면 y=0 이라는 부분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또 u=V 일때 y=h 라는 부분도 잘 모르겠습니다.....
쉽게 다시 한번 설명 제발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첫번째 질문에 관련해서는 수업시간에 자세히 설명드린 것 같은데 놓치신 것 같습니다.
전단응력이 위의 문제처럼 2차원, 즉 x와 y의 함수일 때는 x에 따라 변하는 타우값과 y에 따라 변하는 타우값을 같이 고려해줘야 합니다.
때문에 x의 양의 방향으로 가는 타우를 표현할 때는 y=0일 때와 y=dy일 때 다른 값이 되어야 합니다. Y가 변하면 타우도 변해야하기 때문입니다.
Y=0일 때는 그냥 타우로 표현할 수 있지만, y=dy일때는 y=0에서 dy까지 변할 때까지 변한 타우의 값을 고려해줘야 합니다.
결국 원래의 타우에 더해서 ‘y값에 따른 타우의 변화량’ (=a(Tau)/ay)를 dy에 곱하여 변화량을 계산해줘야하는 겁니다.
아마 강의 시간에도 잘 설명드린 것 같고, 제 기억으로는 뒤에 베르누이 법칙할 때 한 번더 이러한 개념에 대해서 설명해드렸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2차원에 관한 내용에 대해 익숙하지 않으셔서 생긴 질문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좀더 다른 방법으로 고민해보세요.
두번째 질문은…
원래 이 문제의 boundary condition (경계조건)이 y=0일때는 속도가 0이고, y=h일 때는 속도가 V입니다.
바닥에서의 유체의 유동은 바닥과의 마찰로 인해 속도가 0이라고 가정하고,
수면에서는 속도가 V라고 가정하는 것이죠.
Newtonian 유체이기 때문에 linear 한 속도 분포를 가진다는 성질을 이용해 높이에 따른 속도값을 유도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2017-05-1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