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안녕하세요 교수님 KCL & KVL질문이요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양진목 |
과목 | 회로이론 | 강좌명 | |
작성자 | 학* (q********s) | 등록일 | 2017-03-02 00:44 |
첨부파일 | |||
교수님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 회로이론에서 문제를 풀때 어느 문제(상황)에서 KCL 혹은 KVL 써야하는지 자주 틀립니다.
예를 들어 일차미분방정식에서 시상수 구할때요. 인덕터 단락 ( 0 V ) 이면 0 V 이므로 미지수를 찾기위해 혹은 Value 값을 찾기위해 KCL을 써야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리고,
커패시터 개방 ( 0 A ) 이면 0 A 이므로 KVL 을 써야하는 줄 알았는데.
문제들을 보니 어느때는 KVL을 어느때는 KCL을 사용해야지만 i(t)와 v(t)를 찾을 수 있는데요.
혹시 언제 KVL을 언제 KCL을 써야하는지 Tip 이나 법칙이 있을까요? 어렵네요ㅠ
(선생님 답변보고 연습해보고 그래도 안되면 그때는 문제 첨부파일 해서 올려보도록 할게요.)
2. 그리고요 p. 34 예제 4.2번 문제에서 해설 오류 난건 가요????
풀이 보시면 x에서 KCL 을 적용하면 (V-50)/5 이라고 나와있는데요.
전류 ia 가 마디로 들어오는 상황이므로 (50-V)/5 가 맞는것 같은데요.....
그리고 그 밑에 ia = 50 - V/ 5 = 2A 라고 나와있고요....
근데 또 문제를 풀면은 (50-V)/5 가 맞는것 같은데.... (V-50)/5 해야지 맞네요 ㅠ.....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양진목입니다.
답변이 늦어져서 대단히 죄송합니다.
1. 질문이포괄적이어서 구체적으로 답변드리기는 어려운데요
KCL과 KCL 가운데 어느 것을 적용하여도 결국 풀리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특정 회로에서는 두 방법 가운데 어느 한 방법을 사용할 때 미지수의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시행착오를 통해 경험적으로 얻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2. (v-50)/5는 마디 x에서 흘러 나가는 방향의 전류이고 (50-v)/5는 마디 x로 들어오는 방향의 전류입니다.
해설의 1번 식에서는 x마디에서 흘러나가는 전류들의 합이 0임을 이용하여 식을 세웠기 때문에전자와 같이
표시하였고 ia는 x마디로 들어오는 방향이므로후자의 표현을 사용한 것입니다.
- 2017-03-03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