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정역학, 고체역학, 구조역학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권준표 |
과목 | 고체역학 | 강좌명 | |
작성자 | 학* (b********s) | 등록일 | 2017-02-15 10:56 |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수님의 3대 역학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입니다.
저는 토목공학과 기계공학을 복수전공하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토목공학이 1전공입니다.
진로는 기계공학과 또는 기계토목이 만나는 건설기계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번 학기에 토목과의 구조역학이란 강의를 듣는데요,
교수님의 고체역학 강의를 듣다보니 정역학강의와 상당부분이 중첩되었습니다.
저희학교 정역학시간에는 평형방정식 ~ SFD, BMD까지 Beer의 공학도를 위한 정역학 교재를 전부
배웠는데요, 그러다 보니 비틀림과 모아원을 제외한 부분은 고체역학과 동일하더라구요
이번학기에 구조역학을 배우는데 구조역학과 고체역학(재료역학)은 어느 부분까지 중첩되고
구조역학은 무엇이 새로우며 기계과에서 구조역학이 활용되는 부분이 어떤게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ㅜㅜ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구조역학의 경우 말씀하신 대로 고체역학과 상당히 유사합니다. 가속도가 0인, 정지한 상태에서의 힘과 변위, 물체의 거동 등에 대한 공부를 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적용하는 대상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계과에서 다루는 고체/재료역학의 경우 정역학에 기반한 역학이론을 전반적으로 다룹니다. 재료의 파괴나 거동도 배우고, 하중에 따른 구조물의 변화에 대해서도 배우구요. 토목과에서도 관련 이론들을 배우지만 주로 건축물(트러스, shell 등)에 더욱 초점을 맞출 것 같습니다. 좌굴 또는 Beam Theory, Base Vibration 등등.. 실제로 구조 설계에 필요한 이론들에 대해 집중해서 배우실 것 같습니다.
저는 미국 교환학생 시절과 석사과정 동안 구조역학 과목을 들었는데, 같은 역학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유사하여 어렵지 않게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열심히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17-02-15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