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학습 Q&A

강의 내용 궁금증! 교수님이 직접 답변 드립니다.

  • 홈
  • 커뮤니티
  • 학습 Q&A
  • 학습 Q&A

Q&A 메뉴.png

※ 유의사항
강의에 나오지 않는 내용에 대한 풀이나 해설은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습과 무관한 내용 및 비방/욕설 등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내용은 사전 고지없이 삭제됩니다.
답변 완료된 게시글은 수정 및 삭제 불가합니다.

게시판 글보기
제목 답변완료 17강 18강
질문유형 강좌내용 교수님 박재우
과목 일반물리학 강좌명
작성자 학* (s********o) 등록일 2016-12-19 21:51
17강

 1. 앞에서 했던 거 기억나는데

지금 다시 생각해보니 이해가 안되서요

그 고리하고 도선에서 전압 구하는 문제인데요

도선이야 미소 전하를 어느 위치에 잡느냐에 따라 p점과의 거리가 달리지는데

고리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강의에서는 매번 미소전하를 그 위쪽 부분으로 잡으니깐 피타고라스가 성립이 되는 건데

다른 곳으로 잡아버리면 똑같이 거리가 달라지는 거 아닌가요?

왜 고리에서는 상수로 생각하고 도선에서는 변수로 생각하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2. 그 전 문제에서 원통으로 된 도선 문제에서요

Vb를 기준점으로 잡는 이유는 뭔가요?

또 Vb를 0으로 놓고 R은 임의의 점으로 잡아도 상관 없는건가요??

 

18강

1. 도체 내부의 전하가 움직이지 않을 때의 경우에 관한 질문인데

전하가 움직이지 않는다가 왜 E=0이라는 결론으로 도출이 되는 건지...

전하가 있으면 주위에 전기장이 있는거 아닌가요?

그러니깐 앞에서 단일 전하의 전기력선도 그렸던거고요..

 

2. 이게 수평 방향이 상쇄 되려면

도체 내부에 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전기장이 있어야

전기장이 0이 되잖아요..

그런데 그건 수직 방향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수직 방향도 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 있어야

상쇄가 되고 그렇게 되면 전하가 밑으로 움직이게 되니깐

모순이 생긴다고 생각할 수 있잖아요??

왜 수평 방향만 상쇄가 되는 거죠??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댓글
0
박*우 교수님

답변이 늦어서 미안합니다.

 

17강

 

1. 고리는 원이기 때문에 어느쪽에서 잡든 항상 반대쪽이 발생해서 상쇄되는 부분이 발생합니다.

  피타고라스 정리도 당연히 성립하게 되는 거지요.

 

2. 기준점은 항상 전위가 0이되는 중력장으로 보면 바닥이 됩니다. 그래서 Vb=0 이라 둡니다. 이 의미는

  전기 퍼텐셜의 정의에 따라 무한대의 위치에서 전하를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에 거리 rb를 무한대로 두는 데

  그렇게 되면 Va가 무한대가 되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이런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rb를 무한대로 두지

  않고 r0이라 둡니다. 실제 r0를 원통반지름 R로 두면 내부 반지름 r이 R과 같아지면 R/R=1 이되어 로그 값이

  0이됩니다. 자연스럽게 V=0이 되지요.

 

18강

 

1. 전기장의 정의는 단위 전하당 작용하는 힘입니다. 힘이 없다면 멈춰 있을 것이고 그래서 E=0 입니다.

  멈춰 있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입니다. 주변 전하로 인하여 작용하는 힘이 있다면 모두 상쇄된 것이겠죠.

 

2. 에너지가 0이라는 것은 일이 0이라는 것이고 이 일은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한 일도 0이

  됩니다. 일은 내적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접선방향이 존재한다면 E=0 그러니깐 에너지가 0이니깐 반대쪽으로도

  존재해야 합니다. 정지해 있다라는 것에 모순이죠. 그러니까 E=0 이면서 접선방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수직 방향만 존재하게 됩니다.

 

이해되었는지요.

감사합니다.

 

 

 

   

  • 2016-12-21
  • 2024-12-1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