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답변완료 유도와 유도용량 | ||
---|---|---|---|
질문유형 | 강좌내용 | 교수님 | 김대희 |
과목 | 일반물리학 | 강좌명 | |
작성자 | 학* (r*******e) | 등록일 | 2016-12-09 16:20 |
유도와 유도용량 동영상 58분에 있는 확인 6번문제 아래그림에서 왜 전류가 저항이 있는 도선으로는 흐르지 않고 옆 코일도선으로 가는 것인가요? 전류는 도선이 있으면 무조건 흐르는 것 아닌가요?
답변 완료된 질문과 답변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
- 댓글
- 0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코일은 시간의 전류에 따른 변화에 반응합니다.
쉽게 말하면 역학에서의 관성과 같이 전자기에서도 갑작스러운 변화를 싫어하는 관성이 작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a) 여닫개가 닫힌 직후는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관성에 의해 전류가 증가하는것을 막기 위해 역기전력이 형성됩니다.
전원장치의 전압이 V라면
(1)에서는 역기전력 -V가 생기기 때문에 회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2)에서는 코일과 연결된 저항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저항 하나만 연결되 회로가 되며
(3)에서는 저항 두개가 직력연결되 회로가 됩니다.
이것이 계속 유지되는것이 아니고 스위치를 닫은 순간만 이렇습니다.
(b) 오랜시간이 지나면 일정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코일은 도선처럼 행동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1)에서는 저항 두개가 직렬연결
(2)에서는 저항 두개가 병렬연결
(3)에서는 저항과 연결된 코일이 그냥 도선처럼 바뀌기 때문에 저항이 있는쪽으로 흐르지 않고 모두 코일쪽으로만 흐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1옴의 저항과 2옴의 저항이 병렬연결되어 있으면 병렬연결의 특징상 전압이 같아야 하기 때문에
전류는 2:1의 비로 흐르게 되며 1옴의 저항과 저항이 없는 도선이 연결되어 있으면
모든 전류는 저항이 없는 도선으로 흐르게 됩니다.
- 2016-12-14
- 2024-12-12 수정